<서울의 봄> 줄거리
1979년 12월 12일, 수도 서울 군사반란 발생 그날, 대한민국의 운명이 바뀌었다.
대한민국을 뒤흔든 10월 26일 이후, 서울에 새로운 바람이 불어온 것도 잠시 12월 12일,
보안사령관 전두광이 반란을 일으키고 군 내 사조직을 총동원하여 최전선의 전방부대까지 서울로 불러들인다.
권력에 눈이 먼 전두광의 반란군과 이에 맞선 수도경비사령관 이태신을 비롯한 진압군 사이,
일촉즉발의 9시간이 흘러가는데…
역사적 내용
1979년 12월 12일 서울 군사 반란은 박정희 대통령이 암살된 지 몇 달 만에 일어난 한국 역사에서 중요한 사건이다.
반란의 배경은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대통령의 암살 이후 권력 공백과 정치적 불안정이 나라를 집어삼키게 되어
다양한 파벌들이 통제와 영향력을 다투면서, 군부 내 파벌주의는 변동성을 더했다.
군 내부에서 떠오르는 인물인 전두환은 권력을 잡을 기회를 보았고
1979년 12월 12일, 전두환과 그의 충신들인 하나회는 서울 근처에서 쿠데타를 위해
조용하고 은밀하게 군사 훈련을 시작했다. 그들은 육군 참모총장과 국방부 장관을 포함하여
경쟁자로 간주되는 고위 장교들을 체포하면서 계엄령을 선포했다.
그러나, 쿠데타는 계획한 대로 순조롭게 진행되지 않았다.
계엄령의 발표는 특히 민주주의와 군사 통치의 종식을 요구하는 학생들과 시민들 사이에서
대중의 분노와 시위로 이어졌으며 시위는 빠르게 확산되었다.
전 씨에게 충성하는 세력이 민간인들에게 폭력적인 방법으로 상황을 모면하려 하였지만 점점 상황은 악화되었고,
이는 사상자를 발생시키며 대중의 분노를 더욱 증폭시켰다.
증가하는 불안과 압박으로, 전두환의 파벌은 결국 통제력을 잃었다.
무력을 통해 권력을 잡으려는 그들의 시도의 끝을 나타내며, 전두환과 그의 동료들은 체포되었다.
실패한 쿠데타와 그것의 여파는 정치적 격변이라는 결과를 낳았고,
한국에서 불안정한 시기와 민주주의에 대한 요구 증가로 이어졌다. 궁극적으로, 더 많은 정치 개혁을 위한 발판을 마련했고, 그 후 몇 년 동안 더 민주적인 체제로 국가의 전환을 위한 길을 닦았다.
<서울의 봄> 후기
반란군에 맞서 싸웠던 장병들의 헌신과 이태신 장군의 끝까지 진압하려는 노력에 영화를 보는 내내 손에 땀을 쥐게 되었다.
믿고 보는 배우들의 연기력으로 시작과 동시에 몰입이 되면서 긴장감을 놓치지 않는 연출들이 마치 그 시대를 직접 보고 있는 듯 한 느낌이 들었다.
나는 예고편을 잘 안 보는 스타일이어서영화 초반부터 기재된 '실화를 기반으로 각색한 이야기'라고 한 부분으로
완전히 새로운 스토리를 전개하는 줄 알았다. 하지만 약간의 각색만 한 것 같아 만족도 높은 영화가 탄생했다고 생각한다.
사실 소설이라 해도 너무 현실적이지 않은 내용이라고 생각할 정도의 허술한 쿠데타.
하지만 그것이 현실로 있었고 그것에 대한 무능했던 정부군의 대처에 참으로 안타깝고 슬픈 감정까지 들었다.
영화를 다 본 후 이 생각이 가장 먼저 들었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